본문 바로가기
  • 산이 좋아 산을 찾아 산에 마음을 두어...
둘레/남선공원 마실길

남선공원 마실길 2011.12.07

by [대전]풀때기 2011. 12. 7.
728x90

 

 

 

 

남선공원 마실길 

 

  

 

산행날짜: 2011.12.07 (수)

 

마실길 코스: 남선공원종합체육관 -> 테마공원 -> 명학소 민중봉기 기념탑 -> 남선정 -> 남쪽방향 등산로 -> 남선정 ->

                  자연학습원 -> 북쪽방향 외측 등산로 -> 남선공원종합체육관

 

 

남선공원 마실길 입구 위치: 대전 서구 탄방동 남선공원종합체육관(1084번지)

 

남선공원 마실길 볼거리: 테마공원 , 명학소 민중봉기 기념탑 , 자연학습원

남선공원 마실길 주변 볼거리: 충효사 , 도산서원(대전 문화재 자료 제3호) , 만회집탄옹문집판목(대전 유형문화재 제17호)

                                         권시의묘(대전 문화재 자료 제51호) , 세등선원

 

마실길 도상거리: 1.7 km

마실길 소요시간: 55분

속도: 일반시민 기준 쉬엄쉬엄

난이도: 하

 

 

 

 

만든이:풀때기

 

 

 

남선공원 마실길.. 

 

얼마전 지인 다니엘님께서 진잠마을 둘레길을 개발했다는 소식에 신선한 충격을 받아

사색에 잠길 무렵의 어느날 문득 잠에서 눈을 뜨며 사람은 누구나 살면서 뭔가를 남겨야 한다는

이 땅에 숨쉬고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일종의 사명감을 느껴 본인이 5년전부터 애용하던 남선공원에

산재되어 있는 등산로를 취합해 감히 남선공원 마실길이라는 이름을 붙여본다

 

 

 

남선공원 마실길 지도

 

(1) 테마공원 (2) 명학소 민중봉기 기념탑 (3) 게이트볼장 (4) 족구장 (5) 배드민턴장

(6) 농구대 (7) 화장실 (8) 어린이놀이터 (9) 야외무대 (10) 자연학습원

(11) 배드민턴장 (12) 야외헬스장 (13) 남선정 (14) 도산서원 (15) 서구노인복지관

 

남선공원 마실길의 출발지점

 

남선공원종합체육관

 

남선공원종합체육관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공동으로 주관한 2011 우수공공체육시설에 선정된 곳이다

(지방 공공체육시설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의 관리 운영실적을 평가로 선정)

 

 

 

 

 

 

 

 

 

 

 

남선공원종합체육관에서 좌측 방향

 

테마공원

 

 

 

 

 

 

 

 

 

 

 

 

 

 

 

 

 

 

 

 

 

 

 

 

 

 

 

 

 

 

 

 

 

 

 

 

 

 

 

 

 

 

 

 

 

전통숮가마 재현

 

 

 

 

 

 

 

남선공원 마실길이 위치한 탄방동의 유래

 

옛날 이곳에 참나무가 우거진 숲이 있었고 그 나무를 베어서 숮을 굽는 숮방이가 있었던 마을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숮방이라 부르다가 뒤에 숮뱅이로 불렸는데 한자어로 표기하면서 현재 탄방동으로 불리고 있다

 

 

 

 

고인돌(재현)

 

 

 

 

 

 

 

 

 

 

 

 

 

 

 

 

 

돌탑

 

 

 

 

 

 

 

 

 

 

 

 

 

 

 

 

 

 

 

 

 

 

 

 

 

명학소 민중봉기 기념탑

 

명학소의 위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유성현 동 십리로 되어있다

그러니까 유성현 동 십리를 지도에서 찾아보면 이 탄방동 일대

탄방동은 숯뱅이, 숯골 마을이기 때문에 농사를 짓는 이외에 숯을 구워내는 특수 촌락이었으며

가난한 농민과 천민이 거주하는 마을이었다

 

 

 

 

 

 

 

 

 

 

고려 명종 때 공주(公州) 명학소(鳴鶴所)를 중심으로, 신분제의 타파를 목적으로 난

일으켰는데, 이름하여 명학소의 난 이라 한다. 고려 무신 집권기에는 무신 상호간 권력다툼을 이용하여,

각지에서 사회경제적 모순에 대한 하층민들의 반항, 즉 민란이 반발하였다.

서기 1176년 고려 명종 6년 정월(正月)에 명학소 주민, 망이(亡伊)와 망소이(亡所伊)는, 자칭 산행병마사

(山行兵馬使)라 하고, 민란(民亂)을 일으켜서 공주지방을 함락시켰다. 이때 조정에서 지후(紙侯) 채원부(蔡元富)와

낭장(郎將) 박강수(朴剛壽)등을 파견하여, 이들을 달랬으나 듣지 않았으므로, 2월에 대장군(大將軍) 정황재(丁黃載)와 장군(將軍) 장박인(張博仁)에게  3,000명의 군사를 주어 토벌(討伐)케 하였으나 오히려 패하자,

망이(亡伊) 망소이(亡所伊)의 회유책(懷柔策)으로, 그 향리(鄕里)인 명학소를 승격시켜 충순현(忠順縣)이라 하고, 현령(縣令) 현위(縣尉)를 보내고, 창고의 곡식을 하사하여 그곳 주민을 위무(慰撫)케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듣지

않아 다시 무력으로 전면적인 토벌작전을 벌여, 1177년고려 명종7년 정유(丁酉) 정월(正月)에, 망이(亡伊) 망소이(亡所伊)가 항복하여, 감찰어사(監察御使) 김덕강(金德剛)에게  압송하여 죽임으로 난이 끝났다.

망이 망소이의 난은, 천민집단의 신분해방 운동과 농민반란의 두 가지 성격이 결합된 것이었다.

그리고 이 난은 비록 실패하였지만, 고려사회에 신분질서를 타파하려는 천민들의 신분해방운동이라는 점에서,

그 선구적인 의미가 인정되며, 실제로 이후 천민집단의 소멸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평가된다.

 

 

 

 

 

 

 

 

 

 

 

 

 

 

 

 

 

 

 

 

 

 

 

 

 

 

 

 

 

 

 

 

 

 

 

 

 

 

 

 

 

 

 

 

 

 

 

 

 

 

 

 

 

 

 

 

 

 

 

 

 

 

 

 

 

 

 

 

 

 

 

 

 

 

 

 

 

 

 

 

 

 

 

 

 

 

 

 

 

 

 

 

 

 

 

 

 

 

야외무대

 

 

 

 

 

 

 

 

 

 

 

 

 

 

 

 

 

 

 

 

 

 

 

 

 

 

 

 

 

 

 

 

 

 

 

 

 

 

 

 

 

 

 

 

 

남선정

 

 

 

 

 

 

 

 

남선정 바로 옆에 있는 삼각점

 

 

 

 

 

 

 

 

 

 

 

 

 

 

 

 

남선정 뒷편의 등산로로 진입

 

 

 

 

 

 

 

 

 

 

 

 

 

 

 

 

 

 

길따라 직진

 

 

 

 

 

 

 

노인종합복지관(서구노인복지관) 방향

 

 

 

 

 

 

 

 

 

직진

 

 

 

 

 

 

 

 

 

 

 

 

 

 

 

 

 

 

 

 

 

 

 

 

 

 

갈림길에서 남선정 방향으로 올라감

 

 

 

 

 

 

 

 

 

 

 

 

 

 

 

 

 

 

 

 

 

 

 

 

 

 

 

 

 

 

 

 

 

 

 

 

 

 

 

 

 

 

 

 

 

 

 

 

 

 

 

 

 

 

 

 

 

 

 

 

 

 

 

 

 

 

 

 

 

 

 

 

 

 

 

 

 

 

 

 

자연학습원

 

 

 

 

 

 

 

 

 

 

 

 

 

 

 

 

 

자연학습원 10M 아래에 있는 배드민턴장

 

 

 

 

 

 

 

 

 

 

 

 

 

 

 

 

 

 

 

 

 

 

 

 

 

 

 

 

 

자연학습원에 있는 식물

 

개고사리 , 관중 , 노루귀 , 둥굴레 , 맥문동 , 무뉘비비추 , 붓꽃 , 옥잠화 , 왕원추리 , 초롱꽃

 

 

 

 

 

 

 

 

 

 

 

 

 

 

 

 

 

자연학습원 중앙에 있는 버드나무

 

 

 

 

 

 

 

 

 

 

 

 

 

 

 

 

 

 

 

5년전부터 삶이 힘들때 마다 이 버드나무에 기대 사색에 잠겨가곤 한 추억의 장소

 

 

 

 

 

 

 

 

 

 

 

 

 

 

 

 

 

 

 

 

 

 

 

 

 

 

 

 

 

 

 

 

 

 

 

 

 

북쪽방향 외측 등산로로 진입

 

 

 

 

 

 

 

 

 

 

 

 

 

 

 

 

 

 

 

 

 

 

 

 

 

 

 

 

 

 

 

 

 

 

 

 

 

 

 

 

 

 

 

 

 

 

 

 

 

 

 

 

 

 

 

 

 

 

 

 

 

 

 

 

 

 

 

 

 

 

 

 

 

 

 

 

 

 

 

 

 

 

 

 

 

 

 

 

 

 

 

 

 

 

 

 

 

 

 

테마공원

 

 

 

 

 

 

 

 

 

남선공원종합체육관으로 원점회귀

 

마실길 종료

 

일반시민 기준 쉬엄쉬엄 55분 소요

 

 

 

 

남선공원 위치도

 

남선공원종합체육관 정문 -> 충효사 거리 500M

   남선공원종합체육관 정문 -> 도산서원 거리 550M

   남선공원종합체육관 정문 -> 권시의묘 거리 600M

 남선공원종합체육관 정문 -> 세등선원 거리 1km

 

 

 

 

남선공원 주변의 볼거리

 

충효사

 

 

 

 

 

 

 

 

 

 

 

 

 

 

 

 

 

충효선원약사

 

계룡산 신도안 대궐터에서 충효사는 순국열사 위패를 모시고 해마다 제를 봉행하였다

1927년 우만월 비구니스님께서 창건하신이래 허물어진 절을 1973년에 중수불사를 시작하여 삼성각 선방 대웅전을 10년간의

대작불사를 완공하였으나 1984년 3월 30일 620군부시책으로 인하여 대전시 탄방동 245-1번지로 이주 불사중 다시 1988년 10월경

한국토지개발공사 사업으로 인하여 현 이곳 남산(남선)봉하 1083번지에 충효선원 부지를 불하받아 1990년 9월 6일 기공식후

1991년 6월 29일 이주하여 1993년 2월 24일 낙성식하고 1993년 11월 18일 대웅전 삼존불상을 봉인하였다

이곳 충효사는 계룡산 정봉이 보이며 좌청용 우백호가 갖추어진 도심속의 명당 기도 도량이다

 

1994년 10월 충효사(선원)

 

 

 

 

 

 

 

 

 

 

 

 

 

 

 

 

 

 

 

 

 

 

 

 

 

 

 

 

 

 

 

 

 

 

 

 

 

 

 

 

도산서원

 

 

 

 

 

 

 

 

문화재 자료 제 3호로 지정되어 있음 (1989.03.18 지정) 

 

도산서원(道山書院)

주소: 대전 서구 탄방동 233

 

만회 권득기와 그의 아들 탄옹 권시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권득기는 41세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좌랑을 지냈으며, 정세가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도학을 공부하였다고 한다. 권시도 학문이 뛰어나 대군사부·한성부좌윤 등에 임명되었으나,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이곳에서 학문에 힘썼다. 이 서원은 조선 숙종 19년(1693)에 유림들이 뜻을 모아 세운 것으로,숙종 37년(1711)에 나라에서 내린 현판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사당 3칸·묘문 3칸·강당 4칸·서재 3칸·남재 4칸·전사청 3칸 등 모두 23칸 규모를 가진 서원이었다고 하는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 그 뒤 1921년 단을 만들고 제사를 지냈으며, 1968년·1973년 두 차례에 걸쳐 안동 권씨 문중에서 복원하였다. ‘도산’이라는 이름도 이곳에 머무르면서 도학을 연마하였기 때문에 붙인 것이다

 

 

 

 

 

 

 

 

 

 

 

도산서원 견학시간

 

평일: 09:00~17:00

토요일: 09:00~12:00

 

일요일 공휴일은 휴무

 

 

 

 

 

 

 

 

 

 

 

 

 

 

 

 

 

 

 

 

 

 

 

 

 

 

 

 

 

 

 

 

 

 

 

 

 

 

 

 

도산서원관리사무소 뒷편으로는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만회집탄옹문집판목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1호 권시의 묘(權諰의 墓)가 있다

 

 

 

 

 

 

 

 

 

 

 

 

만회집탄옹문집판목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지정일1989.12.13)

 

수량/면적 610판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안동권씨종중
관리자 안동권씨종중
자료출처 및 참조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안동권씨종중

관리라: 안동권씨종중

자료출처 및 참조: 문화재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만회 권득기((晩悔 權得己) : 1570∼1622)와 그의 아들 탄옹 권시(炭翁 權시 : 1604∼1672)의 문집(文集)판목이다.

 

이 판목은 도산서원(道山書院)에 보관하여 오다가 1987년 이곳에 철근콘크리트로 건물을 세우고 숭모각(崇募閣)이라고 이름 지은 장판고(藏板庫)에 보관하고 있다.

 

만회집 328판은 인조 13년(1635)과 숙종 38년(1712)에 제작한 것으로 판목은 배나무와 물오리 나무의 양면에 조각하였으나 5판은 한쪽면에만 조각하였다. 그 중 만회집 습유(晩悔集 拾遺) 제18면은 반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면에 조각되었다. 만회집은 권득기 선생의 저서이지만 아들 적(謫), 시(시)와 후손 이진(以鎭)이 편찬하였다. 그 내용은 광해군 때에 일어난 당론(黨論), 예학(禮學), 변설(辨設) 등이 기록되어 있어 학문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탄옹집은 282판으로 영조 14년(1738)에 제작한 것으로 판목은 물오리나무로서, 13판을 제외한 269판이 양쪽면에 조각되어 있다. 그러나 순서대로 되지 않은 부분과 중복 판각된 곳도 있으며, 선생의 아들 기, 유(惟), 사위 윤증(尹拯), 손자 이등(以등), 이진(以鎭) 등이 편찬하였다. 그 내용은 당론과 예학 등으로 유교사상연구의 좋은 자료이다.

 

만회집탄옹문집판목 실제 사진

 

 

 

 

 

 

 

 

 

 

 

 

 

 

 

 

 

 

 

 

 

 

 

권시의 묘(權諰의 墓)  문화재자료 제51호

 

위 치 : 서구 탄방동 239-1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성(思誠), 호는 탄옹(炭翁)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생각과 행동이 남달라 공자의 제자 안회(顔回)에 비유되었다. 9살 때 이미 시를 짓기 시작하였으며 15살이 되어서는 이기지설(理氣之說)과 사칠지변(四七之辨)에 정통하게 되었다고 한다.

1636년(인조 14) 대군사부(大郡師傅)에 임명되고, 선릉참봉(宣陵參奉), 세자시강원자의(世子侍講院諮議) 등 여러 차례 관직이 주어졌으나 나가지 않았다. 1649년 효종 즉위 뒤 공조좌랑이 되어 처음 출사했으며 경상도사와 집의, 진선 등을 거쳐 1658년(효종 9) 승지에 임명되었다. 이어 찬선(讚善)에 오르고 1659년 현종이 즉위한 뒤 한성부우윤에 임명되었다.

예송논쟁 당시 송시열과 송준길에 대립하여 윤선도를 지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같은 서인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어 광주(廣州) 선영 근처에 머물러 살았다. 1668년 송준길이 임금에게 “권시는 애국우군하는 것이 늙을수록 더욱 돈독하니 버릴 수 없다.”고 주청하여 다시 한성부좌윤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이듬해 공주(지금의 대전)로 돌아왔다.

송시열과 같은 기호학파로 예론에 밝았으며, 죽은 뒤 좌참찬에 추증되고 도산서원(道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원래 보문산 남쪽 산록에 묻혔으나, 안장한지 28년 뒤인 1700년(숙종 26) 지금의 자리로 이장되었다. 봉분은 야트막하여 크지 않으며, 주위를 지키고 있는 석물들 또한 처음 묘를 썼던 곳에서 옮겨 온 것들로 조선 중기의 일반적인 양반가의 묘제를 잘 보여준다.

 

권시의 묘

 

 

 

 

 

 

 

 

 

 

 

 

 

 

 

 

 

권시의 묘 뒷편의 소나무

 

 

 

 

 

 

 

 

 

 

 

 

 

 

 

 

 

 

세등선원 (世燈禪院)

 

지정명 : 사찰

위   치 : 탄방동 191-3

 

조계종 소속의 선도량으로 탄방초등학교옆에 위치하며, 대전에 있는 사찰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주지 능환스님(61세, 속명 서미석) 외에 15명 정도의 비구니스님이 수도하고 있는 선원(禪院)이다.

세등선원을 지을 당시 공사도중에 돌널무덤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 동검과 창, 끌 등이 발견되어 현재 충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등선원을 창건한 이는 류상춘(柳尙春)이란 비구니 스님으로 법호는 무변(無邊), 법명은 세등(世燈)이다. 스님은 1926년 충남 서산에서 태어나 1935년 서울 보문사(普門寺)에서 봉완 (峯琓)스님을 은사로 득도하였다. 1958년 대전 복전선원(福田禪院)으로 내려왔으며, 1972년 세등선원을 창건하였다. 1988년 재단법인으로 등록하여 초대이사장으로 취임하고, 이 해에 부설 등불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3년 서울 보문사에 입적하니 69세의 나이였다.

 

 

 

 

 

 

 

 

 

 

 

 

 

 

 

 

 

 

 

 

 

 

 

 

 

 

 

 

 

 

세등선원 안에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있다

 

 

 

 

 

 

 

 

 

 

 

 

 

 

 

 

 

 

 

 

 

 

 

 

 

 

 

 

 

 

 

 

 

 

 

 

 

 

 

 

 

 

 

 

 

 

 

 

 

 

 

 

 

 

 

 

 

 

 

 

 

 

 

 

 

 

 

 

 

 

 

 

 

 

 

 

 

 

 

 

 

 

 

 

향후 업데이트 예정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