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파진산 185.5m - 석성산성 180m대 - 용머리산 170.7m
-백제 최후의 항전을 지휘한 백제 사령부가 있던 곳/전우치의 전설이 전해지는 곳-
날짜: 2020년 03월 21일(토)
산행 코스: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933-4 공터 -> 조릿대(산죽)구간 -> 파진산 -> 석성산성(옥녀봉) -> 용머리산 -> 임강사지
-> 금강 옆 데크길 ->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933-4 공터
산행 거리: 7.9 km
소요 시간: 3시간 4분
산행지 고도차: 최대 180m 내외
*유의사항:
맨 마지막 봉우리인 용머리산 가는길 갈림길 주의
산행지 주차 주소: 충남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933-4 공터
속도: 보통...
날씨: 맑음
참가자: 파파스머프 , 마음의향기 , 아라 , 초짜 , 법운 , 애플사랑 , 풀때기
= 총 7명
참가비: 15,000원(점심식사 비용 포함)
차량 지원자: 파파스머프
주관자: 풀때기
점심식사 장소: 대왕산삼백숙본가
식당 주소: 대전 유성구 외삼동 274-7 (신 주소: 대전 유성구 외삼로8번길 26)
식사 메뉴: 갈비탕
일정
현충원역 AM 08:10
산행지 주차 AM 09:00
산행 시작 AM 09:06
조릿대(산죽)구간 AM 09:13
파진산 AM 09:28
석성산성 AM 10:27
용머리산 AM 11:06
임강사지 AM 11:35
차량회수 PM 12:09
대왕산삼백숙본가 PM 01:10
현충원역 해산 PM 02:05
총 산행 시간: 3시간 4분
부여 파진산
충청남도 부여군의 부여읍 현북리와 석성면 현내리 · 석성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 금강 변에 위치한 낮은 산으로,
북쪽으로 용머리산, 국사봉, 태종봉 등으로 이어진다. 파진산을 중심으로 석성면과 장암면 사이를 흐르는 금강이 좁기 때문에
이 구간을 '파진산 협곡'이라 부른다. 파진산의 지맥에서 남쪽 계곡으로 포곡식 석축산성인 석성산성이 있는데 성문터, 수구문,
우물터, 건물지 등이 남아 있다. 이 성은 백제의 수도인 사비 남쪽의 관문을 방어하기 위하여 축조된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석성)에 "현 서쪽 41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산경표』에
"금남정맥에 속하는 산이다."이라고 수록되어 있다. '바지산', '고산'이라고도 불린다.
출처: 한국지명유래집 충청편
전우치전에 나오는 도술에 능했던 주인공 전우치가 부여 파진산에서 도술을 익혔다고 전해진다.
파진산의 지명 유래: 당나라 군대가 진을 쳤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부여석성산성
연산의 황산성, 노성의 노성산성 및 금강 건너의 성흥산성, 뒤쪽의 금성산성과 연결되는 백제의 수도 사비 남쪽 외곽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산성이다.
이 산성은 안쪽에 성을 세운 후, 다시 성 밖에 2개의 골짜기를 따라 성을 쌓았다. 현재는 성문터와 성문 밑으로 개울물이 흐르게
하던 수구문, 그리고 우물터와 건물터들이 남아있다. 6세기 전반에 세워진 것으로 둘레 약 1,5㎞, 폭 약 5m, 높이 4m 정도로,
바깥쪽은 돌을 쌓아 올리고 안쪽은 흙을 파서 도랑(호)처럼 만들어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산성의 특색은 2개의 골짜기를 둘러싼 포곡식(包谷式) 외성을 축조하고, 그 안에 퇴뫼식으로 주위 580m의 내성을 축조하였다.
현재 성벽은 모두 무너졌고, 성벽이 통과하는 계곡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던 수구(水口)도 파괴되어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다.
오른쪽의 수구에 해당하는 부분은 좌우로 성벽과 연결되도록 돌덩이들을 3∼4m정도의 높이로 쌓아 올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 안의 가운데 산등성이에는 토기조각과 기와조각들이 많이 널려있어 건물터로 추정되고 있다.
이 성은 사비성이 함락된 뒤에도 당나라군과 신라 및 백제부흥군이 치열한 전투를 했던 곳으로 유서 깊은 유적이다.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부여 용머리산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에 있는 산으로 백제시대 사비성의 동남쪽 방어를 담당하던 석성산성이 있다.
백제 부흥군에게도 요긴하게 사용되었었다.
스마트폰용 GPS 산길샘(나들이) 어플로 기록한 자료
제가 다녀간 경로대로 산행을 진행하고자 하는 분들은 스마트폰용 GPS 산길샘(나들이) 어플을 스마트폰에 내려 받으시고
스마트폰으로 아래 gpx 파일을 다운 받아 사용하시면 제가 다녀간 길을 알바(길을 헤매다)없이 100% 똑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중요
스마트폰에서 gpx 파일을 받으실 때 다음 어플이나 네이버 어플로 받지 마시길 바랍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gpx 파일을 잘 받을수 있게 해놓았다가 현재는 버전업하면서 파일을 다운 받을 경우 산길샘 실행 연동이 안되오니
스마트폰 자체 내장 인터넷이나 크롬 어플로 파일을 받아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전우치가 도술을 익혔다고 전해지기도 하고
삼국시대 백제 최후의 사령부가 있다고도 전해지는 파진산과 석성산성-용머리산을 오르기 위해
충남 부여군 석성면 봉정리 933-4 공터에 차량 주차
산행 시작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다.
등산 안내도
파진산 -> 석성산성 -> 용머리산
진입
선두 마음의향기님
파진산으로 오르는 길 뒷쪽으로 금강이 펼쳐진다.
조릿대(산죽) 구간
산행시작 7분 경과
(선두부터...) 애플사랑님,초짜님,파파스머프님,아라님,법운님
오르는길 우측으로 파진산의 벌목된 지대가 보인다.
활짝 피기 시작한 진달래
파진산 정상 도착
185.5m
산행시작 22분 경과
파진산 지명 유래:당나라 소정방군이 진을 쳤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파진산 정상에 있는 팔각정에서 대략 15분간 휴식을 취하다.
팔각정에서 바라본 금강
문헌을 보면 파진산은 전우치전에 나오는 전우치가
도술을 익힌 산으로 기록된 곳이다.
파진산에서 도를 닦던 전우치에게 어느날
밤마다 예쁜 여자로 변신해 그의 수련을 방해하던 여우의 입 속에서 꺼낸 구슬을 얻은 후
파진산 산신에게 신선의 비결을 얻게 되어 그는 득도를 하고 신선계에 오른다고 한다.
파파스머프님께서 가지고 온 체리
아라님께서 가지고 온 오렌지
애플사랑님이 가지고 오신 달걀
희여치 고개 방향으로 진행
걷는 길 좌측으로 간간히 보이는 금강 조망
부여석성산성 방향을 바라보다.
부여석성산성은 백제시대 산성으로 당나라 소정방군이 쳐들어왔을때 백제 최후의 사령부가 진을 치고 방어를 하던 곳이었다.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선 후 석성산성 방향으로 오르다.
석성산성 중턱에서 파진산 이동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해보다.
부여석성산성으로 오르는 길 뒷편 금강 조망
부여석성산성 정상 도착
정상석에는 이곳이 옥녀봉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옥녀봉은 정식 지명이 아니다.
산행시작 1시간 21분 경과
제단(?)
단체사진
3번째 봉우리인 용머리산으로...
잠시 휴식
초짜님이 가지고 오신 넘 달고 맛있는 배
용머리산 정상 도착
170.7m
산행시작 2시간 경과
하산 시작
매화나무 꽃
어느 민가로 하산
임강사지
백제시대의 사찰터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서 하산완료
산행시작 2시간 27분 경과
데크길을 따라 원점회귀
파파스머프님의 차량회수
총 산행시간 3시간 4분 종료
대전으로 와 반석동에 위치한
대왕산삼백숙본가에서 갈비탕으로 점심식사를 하다.
식사후 현충원역에서 오후 2시 5분 해산...
산행을 함께하신 분들 감사합니다.
다녀간 부여 파진산-석성산성-용머리산 3D 궤적
'산행 > 대전·세종·충청 근교의 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 산악산(산학산) 126.1m - 망배산 132.8m / 군산 공주산 64.5m (0) | 2020.04.19 |
---|---|
진천 양천산 350.9m -진천 조망 산행/진천 농다리- (0) | 2020.04.05 |
보은 농바위산 353m 매봉 271m -농을 포개놓았거나 장농처럼 네모반듯한 모양이라하여 농바위산- (0) | 2020.03.14 |
완주 비봉면 성뫼산(백도리산성/성뫼산성) 394.2m (0) | 2020.03.09 |
공주 치부재산 130m대 금반산 100m대 -공주시 탄천면 안영리의 뒷산- (0) | 2020.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