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이 좋아 산을 찾아 산에 마음을 두어...
산행/100대 명산

진도 첨찰산-덕신산 -100대명산 플러스/BAC 섬&산 100-

by [대전]풀때기 2025. 6. 27.
728x90

 

진도 첨찰산-덕신산

- 산림청 100대명산 플러스 / 블랙야크 섬&산 100-

 

 

날짜: 2025년 6월 25일(수)

 

산행 코스: 주차장 -> 쌍계사 -> 숯가마터 -> 약수터 -> 넓적바위 -> 첨찰산 -> 진도기상대 -> 두목재 -> 덕신산 -> 전망대 -> 주차장

 

산행 거리: 9.8 km

산행 시간: 5시간 27분

 

고도차: 최대 400m 내외

 

 

차량주차 주소: 전남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84 (운림산방 주차장)

 

*유의사항:

없음.

 

날씨: 구름 많음

 

참가자 : 풀때기 나홀로~

 

 

대전세종 산사랑 산악회 (https://cafe.daum.net/djsjsan)

차량 : 개인차 자가운전

 

 

 

일정                 

운림산방 주차장        오후 12시 31분

쌍계사 숲길              산행시작 6분 경과               

숮가마터                   산행시작 29분 경괴

약수터                      산행시작 31분 경과

넓적바위                   산행시작 43분 경과

나무계단                   산행시작 59분 경과

첨찰산                      산행시작 1시간 33분 경과

진도기상대               산행시작 2시간 49분 경과

덕신산                      산행시작 3시간 39분 경과

전망대                      산행시작 4시간 37분 경과

운림산방 주차장        산행 5시간 27분 종료

 

 

진도 첨찰산-덕신산

진도에서 제일 높은 바위산이며 백제시대에 축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山城)이 있다. 조선시대에 설치한 봉수대의 유적이 정상에 있으며 산밑에 운림산방(전남기념물 51)과 쌍계사(전남유형문화유산 121)가 있다. 쌍계사와 운림산방 일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상록수림(천연기념물 107)에 둘러싸여 있다.  

 

 

다녀간 진도 첨찰산-덕신산 지도.

 

 

 

 

디녀간 진도 첨찰산-덕신산 스마트폰용 GPS 산길샘 자료.

 

진도_첨찰산(대세산).gpx
0.09MB

 

 

본인 기준 진도의 4대 명산(동석산,남망산,첨찰산,여귀산)중

하나인 첨찰산 산행을 가다.

 

대전에서 아침 8시에 출발.

자주 찾아가는 진도 모 한식뷔페집에서 이른 점심식사 해결.

 

첨찰산 산행기점인 운림산방 주차장에 도착하니

진도에서 블루베리 농사를 하는 지인께서 블루베리 4kg를 들고 기다리고 있다.

 

생각지도 않은 선물에 부담...

그냥 보낼수는 없어 시세대로 돈 드리겠다고 하니

한사코 거부한다.

 

사진이나 한장 찍어달라 부탁하고 산행 시작.

 

쌍계사 일주문을 지나다.

 

 

 

 

쌍계사 옆 숲길을 지나다.

 

 

 

 

 

 

 

 

 

쌍계사 상록수림.

 

 

 

 

 

 

 

 

 

삼선암골.

 

첨찰산에 들어서기 전에는 작렬하는 여름 날씨였지만

첨찰산에 들어선 순간부터는 3~4월의 날씨로 착각할 만큼 매우 시원하다.

 

 

 

 

 

 

 

 

 

 

 

이곳의 주요 수종은 동백나무.

 

이 지역의 등산객을 만났는데 이곳은 겨울에 애기동백꽃이 

만개하는데 장관이라고 한다.

 

 

 

 

 

 

 

 

 

 

 

 

 

 

 

숮가마터.

 

 

 

 

100년전 진도에는 동백나무가 매우 많았다.

그래서 이 지역주민들은 동백나무를 이용하여 숮을 만들었다고 한다.

 

 

 

약수터(석간수).

 

쌍계사에서 이곳까지 산행거리 1.5km

산행시간 31분 경과.

 

 

 

 

 

 

 

 

 

 

 

넓적바위 도착.

 

43분 경과.

 

 

 

 

 

 

 

동백나무가 빽빽하게 자라있어

햇빛이 잘 안 들어와 약간은 어두운 지역.

 

 

 

 

 

 

 

 

나무계단을 오르다.

 

59분 경과.

 

 

 

 

 

 

 

두번째 나무계단.

 

 

 

 

능선에 도달하여 바라본 주변 조망.

 

 

 

 

첨찰산 정상이 500m 거리쯤에 보인다.

 

 

 

 

 

 

 

 

첨찰산 뒤로 진도기상대도 보인다.

 

 

 

 

첨찰산 정상 도착.

 

1시간 33분 경과.

 

 

 

 

 

 

 

첨찰산 정상석.

국토지리정보원 기준 높이 482m.

 

 

 

 

 

 

 

 

기념촬영.

 

첨찰산은 다른 그 어떤 산보다

양지와 음지의 온도차가 상당하다.

 

의외로 여름산행에 적합한 산.

 

첨찰산 정상에는 조선시대에 설치한

봉수대의 유적이 있다.

 

 

 

 

 

 

 

 

한참을 쉰후 진도기상대 방향으로

향하다.

 

 

 

 

 

 

 

 

 

 

 

 

 

임도를 따라 오르기.

 

 

 

 

진도기상대 입구에서 등산 이정표가 

가르키는 우측 방향으로 진입하다.

 

 

 

 

 

 

 


 

 

 

 

 

 

 

 

 

 

 

 

남동쪽 방향 조망.

 

 

 

 

 

 

 

 

 

 

 

 

 

 

 

 

 

 

 

두목재

2시간 49분 경과.

 

여기까지 산행거리 5km.

팔각정에 누워 15분간 쉬다.

 

도로위에 만들어진 나무육교를 건너다.

 

 

 

두번째 산인 덕신산 가는길.

 

진도 첨찰산 산행을 제대로 하려면

첨찰산과 덕신산 두군데를 다 올라가봐야 한다.

 

과거에는 첨찰산과 덕신산을 하나의 산인 첨찰산으로 분류를 많이 했지만

요즘은 100대 명산이란 흐름의 영향인지 첨찰산 정상만 찍고 쌍계사 방향 하산을

많이 한다.

 

예전 산행의 묘미가 퇴화한 듯한 현재의 흐름에

조금은 아쉬움이...

 

지나갔던 진도기상대를 바라보다.

 

 

 

 

덕신산 정상 도착.

399m

 

산행거리: 6.1km

산행시간: 3시간 39분 경과.

 

서쪽 방향으로 향하다.

 

 

 

 

 

 

 

 

 

 

 

 

 

 

 

 

 

 

 

 

 

 

 

 

 

 

 

 

 

 

 

 

 

 

전망대에서 다녀간 능선을 바라보다.

 

4시간 37분 경과.

 

 

 

 

 

 

 

본격 하산 시작.

 

하산길이 제법 거칠다.

 

 

 

 

 

 

 

 

 

 

 

 

 

 

 

 

 

운림산방 주차장에 도착.

 

산행거리: 9.8km

산행시간: 5시간 27분.

 

진도 첨찰산... 이 지역의 명산으로 인정.

진도에서 잘 놀다가다.

 

 

다녀간 진도 첨찰산-덕신산 3D궤적.

 

 

728x90

댓글